[공지] 2023년 고양시 밖 공모사업을 안내/컨설팅 해드립니다.
작성자고양시자치공동체지원센터 작성일자2023-01-12 조회419
2023년에도 마을공동체 활동은 계속 됩니다.
고양시 밖 공모사업을 센터 직원이 안내해드리고 컨설팅합니다.
관심 있는 마을공동체 · 주민모임 또는 개인은 센터로 연락 주세요. (031-905-1228)
※ 공모 사업은 계속 업데이트 됩니다.
※ 소개한 공모 사업은 기관의 사정에 따라 시행 시기나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
※ 2023년 각 공모 사업의 공고 및 접수 일정 예상 시기는 1월 ~ 3월입니다.
기관 |
공모사업명 |
내용 |
자격 조건 |
지원금액 |
경기도 · 경기도공동체지원센터 |
경기도 마을정책플랫폼 "삼삼오오제안" |
주민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는 정책 상상 과정의 가장 기초단계로서 3인 이상의 경기도민이 모여, 우리 마을의 일상에서 해결이 필요한 문제를 논의하는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
|
3인 이상 경기도민 |
100만원 |
경기도 마을정책플랫폼 "정책상상제안" |
주민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는 정책 상상 과정의 기초단계로서 5인 이상의 경기도민이 모여, 우리 마을의 일상에서 해결이 필요한 문제를 발견하는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
|
5인 이상 경기도민 |
300만원 |
|
경기도 마을정책 플랫폼 "작은 연구 제안"
|
우리 마을·일상에서 도출된 의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을 현장의 당사자가 직접 참여하는 실용적인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
|
경기도민 누구나 |
최대 500만원 |
|
경기도 마을정책 플랫폼 "우리마을 실험실 제안"
|
삶의 현장인 마을, (읍․면․동)단위 지역사회의 문제를 발견하고 자발적인 참여와 실천 그리고 다주체 간의 협업으로 직접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지원하고, 지역사회 현안 등을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아 실행하기 위한 실험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
|
경기도민 누구나 |
최대 1,000만원 |
|
경기도 마을공동체 주민 제안 공모 사업
|
마을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주민 제안 공모 사업 |
10명 이상의 주민모임 |
최대 1,000만원 |
|
공동 주택 활성화 지원 사업
|
- 공동 주택 3주체(주민모임+입주자(임차인)대표회의+관리사무소)의 협의 체계 구축
- 주민 스스로 마을 일을 논의하고 결정하고 실행하는 공동주택 공동체 자치 활동 강화
- 공동 주택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관리 규약 변경 등 자립 기반 마련
|
경기도 내 공동 주택법 상 의무관리 대상 공동 주택 중 주민모임, 입주자(임차인)대표회의,관리사무소가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공동 주택 공동체 활성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공동 주택
|
최대 1,000만원 |
|
1인 가구 공동체 공동 부엌 지원 사업
|
- 경기도 내 중장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공동체성 인식 제고와 관계망 형성
- 중장년 1인 가구의 건강한 식생활 문화 조성으로 생활의 질 향상 확대
|
경기도 내 중장년층 (만 40~64세) 1인 가구 포함된 5인 이상 모임
|
최대 400만원
|
|
마을 종합 지원 사업 |
지역 내 마을공동체간 관계망의 확장을 통한 마을계획수립과 이의 실행으로 지속가능하고 지역사회 변화를 추진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
|
근린생활권(일상생활을 공유할 수 있는 지리적 범주, 1개 행정동범위 이내)을 기반으로 활동해 온 3개 이상의 조직이 결합한 연대조직 (대표조직은 연대활동 경험 1년 이상, 연대조직은 마을활동경험 1년 이상 필수)
|
연차 별 지원금
3,000만원 ~ 5,000만원 내외
(매년 심의를 거쳐 3년 간 지원)
|
|
공동체 거점 지원 사업 |
- 지역내 공동체들이 공유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간 조성으로 공동체간 연대와 협력을 강화하고, 마을공동체·마을자치·공동주택 활성화, 공동체 활동가 발굴
- 주민 스스로 지역의 현안과제 해결 및 네트워크 활성화 기반 조성을 지원하는 사업 |
신규 건립 또는 리모델링을 통한 공동체 거점을 조성하고자 하는 시·군 |
1곳 당 1억원 이내
|
|
|
청년공동체 활동지원 사업 |
- 지역사회의 활력 제고를 목표로 지역 구성원으로 다양한 활동을 희망하거나 지역에 정착을 원하는 청년공동체
- 청년공동체 활동 지원 및 네트워크 등 교류·협력
|
지역에서 활동 중에 있는 청년공동체(법인 또는 단체) |
과업수행비 8백만원 이내 |